일반화학실험2 업로드 A+받은 비누 제조법 원리+결과+고찰 일반화학실험 다운로드
7. 비누 제조법
1) 실험 목적 Tri-glyceride와 알칼리염을 이용한 에스테르화 반응을 이용하여 비누를 생성한다. 2) 실험 원리 및 이론 비누의 역사 및 역할 비누의 역사는 최소 5000년 전부터 지속되어 왔다. 기원전 2800년 경 바빌론 사 람들이 재를 이용한 비누를 처음으로 만든 것으로 전해진다. 바빌론의 유물을 발굴 할 때 비누와 유사한 재료를 담고 있는 진흙으로 만든 원통이 발견되었고, 원통의 측면에 기름과 재를 섞어 비누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기원전 600년 무렵 페니키아인들이 산양의 유지와 나무의 재를 이용해 비누를 만들어 사 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현대에 들어서 식염으로부터 탄산 소듐 제조법의 발명 과 유지의 화학적 조성연구 등을 통해서 본격적인 비누 개발이 이루어졌다. 1890년대에 글리세롤의 회수방법이 완성되었고, 20세기에는 유지 경화법이 공 업화되었다. 20세기에는 비누 제조가 공정화가 되어 오늘날의 비누 제조 공정 으로 발전하였다. 현대인들의 생활에서 비누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어버렸다. 그만큼 비누의 쓰임새가 많아진 것이다. 비누는 일상생활에서 더러워진 우리의 몸 구석구석에 있 는 때를 없애준다. 비누 분자들이 우리 표피에 흡착된 후, 흡착된 비누 분자가 표 피 안으로 침투 한 후 우리 표피의 때를 표피에서 떼어내 준다. 비누의 원리 일반적으로 유지(기름이나 지방)는 탄소수가 많은 고급 지방산( )인 스테아린산( ), 팔미틴산( ) 등과 글리세롤( )과의 에스터( ) glyceride를 말 하며, 그 일반식은 다음과 같다,
3
+
→ glyceride
한편 glyceride를 염기와 함께 끓여서 반응시키면 비누화가 일어나서 지방산의 알 칼리 금속염과 글리세롤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탄소수가 많은 고급지방산의 금속 염이 비누이다. 그림과 같이 에스테르가 강염기와 반응하여 고급지방산의 금속염인 비누와 글리세롤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다음 반응식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glyceride]
+
3NaOH →
+
이렇게 만들어진 비누가 때를 빼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비누는 탄소가 길게 연결된 친유성기와 는 극성으로 친수성기가 된 다. 이러한 물질들을 계면활성제라고 부르며, 친유성과 친수성 부 분을 모두 가지고 있어 계면을 활성화 시켜주는 물질이다. 그림에 서 보이는 것과 같이 막대사탕 모양으로도 나타…(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