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해외시장진출위한 마케팅전략 분석 (이마트 인도시장진출전략) Down
이마트
인도시장진출
국제마케팅 전략
1. 주제 선정 동기
인도 경제는 날이 갈수록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나 중산층의 성장으로 그들의 구매력이 더욱 커졌다. 이로 인해 생필품, Household 용품에 대한 인도인들의 수요가 폭증하게 됐다. 더군다나 높았던 인도 소매 시장 규제의 장벽이 무너졌다. 최근 인도 정부는 소매업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이는 국내 성장에 어느정도 한계가 찾아온 E마트에 해외시장 돌파구의 기회가 될 것이다.
□ 기업 소개 - E마트
2. 이마트의 인도 시장 진출 요인
한국 내수시장의 성장성에 어느정도 한계가 있다. E마트 입장에서는 내수시장은 이미 상당부분 파이를 챙겼다고 볼 수 있다. 딱히 유력한 경쟁자도 없다. 또한 백화점, 소매 업계의 특성상 저성장 구조이다. 높은 인건비와 과다 투자비 지출 등이 그 구조를 구성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E마트 입장에서는 더 이상 국내 시장에 매달려 있기 보다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인도 시장은 우선 인구가 충분하다. 또한 최근의 규제완화로 인한 개방 풍조로 진출이 편이해졌다. 최근 인도 시장의 높은 성장률도 이러한 추세에 한 몫한다.
3. 인도 시장 환경 분석
□ 시장 환경 분석 - 정치적 환경
인도 시장의 정부의 부패도는 높은 편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자국기업의 성장을 중시해 국제적 기업에 대한 규제는 강한 편이다. 하지만 최근 이 규제의 장벽이 완화됨에 따라 진출하는 기업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 시장 환경 분석 - 경제적 환경
2009년 기준 인도의 명목 GDP는 약 1조 50억 달러이고, 구매력 기준으로는 약 3조 5,000억 달러로 세계 4위 규모이다.
2003년부터 세계경제위기 이전까지 인도의 성장률은 8∼9%이상의 고성장을 지속해 왔으며, 세계경제위기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2xxx년 8.5%이상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한 것으로 전망
글로벌 인사이트는 인도가 2xxx년 이후 7∼8%대의 성장률을 지속, 2020년에는 명목 GDP가 약 2조4천억 달러로, 구매력 기준으로 약 9조8천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
2005년 소비증가율이 7%로 급증, 전년 대비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며, 2006년 이후 5% 이상의 소비증가율이 지속됨.
인도의 부유층 및 중산층 비중이 1995년 2.9%에서 2009년 14.5%로 급증함.
인도의 빠른 경제성장을 이끈…(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