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커뮤니케이션 업로드 제작자가 의도하는 의미에 대해서 등록
영상커뮤니케이션 - 제작자가 의도하는 의미에 대해서
Ⅰ. 서론
미디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세계에 산재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들은 텔레비전과 영화, 인터넷 등을 통해 쉽게 소비하고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텔레비전이 등장한 이 후 미디어들은 이미지와 영상을 통해 의미를 전달하고 해석하도록 수용자들에게 전달되고 있다. 왜냐 하면 미디어의 메시지는 하나의 서사물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며, 하나의 이야기이자 담론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영상 메시지는 메시지 수용자들에게 개인적 차원에서 추정할 수 있는 내용들 속에 이차적인 허구적 상황을 투영시킬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디어가 만들어낸 메시지나 영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것이며, 그 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시각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시각은 역사와 인간, 그리고 사회 발전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비릴리오(Virilio)의 입장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그는 수많은 기술의 변화와 사회의 변화들은 ‘속도’와 ‘정치’가 결합하면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판단한다.
비릴리오에 따르면 현대사회에서 시간과 공간, 물질들은 속도에 의해서 인간들과는 직접적으로 상관없는 대상으로 여겨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그는 인간의 역사를 재고찰 하면서 중세시대 육로의 통제나 해상로의 통제, 그리고 미디어 발전을 통한 원격현전의 등장 등은 정치적 요구에 의해서 시간과 공간을 소멸시킬 수 있는 기술들이 발전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1)1) Armitage, J.(2003). Speed and Politics: An Introduction to Paul Virilio, 이재원 역(2004). 속도와 정치
이번 과제는 영상에서 알 수 있는 제작자가 의도하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하며, 이것이 꼭 수용자에게 그대로 전달이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에 대해 논의해 보겠다.
Ⅱ. 본론
1. 제작자와 수용자와의 관계
영화는 각 개별 텍스트의 유사한 특징들이 모이면서 형성된다. 그러나 영화가 언제나 동일한 이야기만을 담고 있다면 시장에서 실패는 분명하므로 영화의 생산자들은 기존의 캐릭터나 이야기 구조의 일부를 변화시켜야만 한다. 다시 말해서 영화는 장르의 고유한 특징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캐릭터, 새로운 갈등 등을 첨가시켜 익숙하지만 신선한 영화로 변화해야 한다.
그러면 장르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