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 귀촌 프로젝트,이촌향도에서 이도향촌 시대로,농촌 인구 증가,경제위기, 은퇴, 전원생활 업로드
[목차]
_SLIDE_1_
한국농업의 새로운 트렌드
귀농귀촌
_SLIDE_2_
CONTENTS
‘현재 한국의 농업은’
_SLIDE_3_
현재 한국의 농업은..
“사양화의 길”
현재
한국의 농업은
“산업으로서 경쟁력 있는
농업 경영체 운영”
들어가며..
_SLIDE_4_
귀농귀촌의 현황
1.
_SLIDE_5_
이촌향도에서 이도향촌 시대로
1. 귀농귀촌의 현황
한국의 도시화율
농촌 순유입인구
농촌인구 증가의 의미
: 농촌 잉여 노동력이 도시로 향하던 시대에서
도시의 과잉 인구가 농촌에서 생활터전을 마련하는 시대로 전환!
_SLIDE_6_
농촌 인구 증가
경제위기, 은퇴, 전원생활 양식선호, 농업부문에서의 가능성
1.
1. 귀농귀촌의 현황
_SLIDE_7_
농...
한국농업의 새로운 트렌드
귀농귀촌
1. 귀농귀촌의 현황
2. 귀농귀촌의 새로운 트렌드
3. 정책방향
4. 시사점
CONTENTS
‘현재 한국의 농업은’
현재 한국의 농업은..
“사양화의 길”
현재
한국의 농업은
“산업으로서 경쟁력 있는
농업 경영체 운영”
들어가며..
귀농귀촌의 현황
1.
이촌향도에서 이도향촌 시대로
1. 귀농귀촌의 현황
한국의 도시화율
농촌 순유입인구
농촌인구 증가의 의미
: 농촌 잉여 노동력이 도시로 향하던 시대에서
도시의 과잉 인구가 농촌에서 생활터전을 마련하는 시대로 전환!
농촌 인구 증가
경제위기, 은퇴, 전원생활 양식선호, 농업부문에서의 가능성
1.
1. 귀농귀촌의 현황
농촌 인구 증가
2009년 전후 우리나라의 도시화, 산업화의 주역이었던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2.
- 전원적 삶을 추구하는 요즘 사람들의 인식변화
- 교통 인프라의 개선, 도시에 비해 낮은 은퇴자금 소요
-세계 금융위기로 인한 도시지역 일자리 감소 스마트
-농업 등으로 새로운 고부가가치로의 창출산업 가능성
+ 20~30대의 귀농
1. 귀농귀촌의 현황
연령별 귀농 귀촌 가구 변화 추이
1. 귀농귀촌의 현황
선진국에서도 귀농 귀촌 증가추세
한국 향후 농촌 의향
선진국의 경우
1. 귀농귀촌의 현황
귀농귀촌의 분포와 귀농의…(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