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이 입장에서 본 우리나라 교육현실의 문제점 다운로드
[목차]
듀이는 환경과의 인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한다. 이는 즉, 학생은 교사와의 상호작용, 그리고 학생과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교생활을 해 나가야 함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더구나 EBS교육방송은 토론중심의 ‘7차 교육과정’을 무시하는 일이 아닌가 한다. 이런 책에 의한, 그리고 ‘e-러닝’을 통해 학교교육을 지속시켜 나가려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런 입시위주의 교육은 과정보다는 결과를 더 지향하는 교육이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듀이는 과정을 중시하며, 또한 교육의 목적은 외부에서 주어지기보다는 학습자 내부에서 설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지금 우리나라 교육의 목적은 듀이의 사상과는 크게 다르다고 볼 수 있다. 학생들에게 있어 공부하는 목적은 자아실현의 의지보다는 대학에 들어가야 하는 목적이 더 지배적인 것이 현실이다.
Ⅲ. 결론
우리나라 교육현실의 문제점을 간단히 두 가지로 집약해서 살펴보았다. 듀이의 교육사상에 비춰봤을 때, 이 두 가지가 우리나라 교육에서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물론 열린교육이라 하여 아동의 창의성을 존중해야 한다는 붐이 일어났었지만, 그것조차 제대로 되지 않았다.
무엇보다 아동 중심적인 교육을 해야 한다는 듀이의 입장은 실로 주입식교육을 받은 우리에게 더 와 닿는 말이 아닌가한다. 지금껏 우리는 입시위주의 교육을 위한 주입식교육을 받아왔고, 지금 현재 교육현장에서도 이런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주입식교육은 개성과 창의성이 중시되는 이 시대에 뒤쳐진 획일성만 낳을 뿐이다.
듀이의 실험학교를 보면 3R을 중시하면서 학습내용으로는 보다 풍부하고 보다 변화가 많은 것을 채택하는 방법을 발견하는 일을 요구하였다. 듀이는 “3R은 언제나 더 높은 수준의 공부로 입문하는 도구이다. 더 깊이 있는 입문을 위해서는 3R에 숙달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교사로서 유의할 사항으로 읽기, 쓰기, 셈하기를 더욱 흥미 있고 생생한 활동을 통해서 습득시킬 것을 요구하였다. 읽기, 쓰기, 셈하기는 아동이 다른 것을 학습하는데 기초가 된다는 필요성을 아동 스스로가 통감했을 때 노력하게 되고 능률도 오른다고 생각하였다.
듀이의 실험학교처럼 우리 학교교육도 여러 풍부한 활동들을 통해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읽기, 쓰기, …(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