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아교육 자료 시각장애 아동의 지도(점자지도, 보행훈련) 시각장애아.. 보고서
[시각장애아교육] 시각장애 아동의 지도(점자지도, 보행훈련)
시각장애 아동은 시각능력의 제한으로 인하여 시각적 정보 처리에 있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므로 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에서는 각 아동의 시력과 시야의 정도, 인지능력과 사회적 ․ 정서적 특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은 시각 이외의 다른 감각을 사용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아동이 지니고 있는 잔존시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한편, 시각장애 아동의 경우 인지적 능력이나 학습 수행 능력에 있어 정안 아동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일반교육 과정을 사용하며, 시각장애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점자교육, 보행훈련, 그리고 일상생활훈련 등이 포함된 확대교육 과정을 사용한다.
I. 점자 지도
시각장애인들은 시각능력의 제한으로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글을 읽고 쓰는 데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 된 것이 점자이다. 점자는 프랑스인인 브레일에 의해 6점체계로 1824년에 개발되어 활용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926년 박두성에 의해 `훈맹정음` 이라는 한글 점자가 제정되었다.
점자는 6개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6개 점의 조합에 따라 63개의 부호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 63개의 부호로 한글, 수학, 영어 등과 같은 글자를 만들어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제한된 부호의 양으로 인하여 중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암기를 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점자의 구성 원리를 살펴보면, 점자도 한글처럼 14개의 자음과 10개의 기본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원리에 따라 적절하게 나열하게 되면 하나의 글자가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점자로 표현하는 것은 일상적인 글보다 많은 양을 차지하기 때문에 양을 줄이기 위하여 약자를 사용한다. 이런 방식으로 점자를 쓰다 보면 원래 글로 표현했던 양보다 많은 분량이 될 수밖에 없다. 이에 아래에 제시된 점자를 보게 되면 자주 사용되는 기본 글자에 대하여 약자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점자를 읽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손의 검지를 활용하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게 된다. 또한 점자를 찍기 위해서는 연필과 같은 역할을 하는 점필과 점자용지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점판…(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