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삭가공 다운받기
[목차]
Α. 보통선반
Β. turret 선반
Α. boring machine
Β. boring 공구
Γ. 절삭조건
Α. shaper 기구
Β. bite 및 공작물의 고정
Γ. shaper의 절삭방법
Α. slotter 기구
Β. slotter 작업
Α. planer의 종류
Β. planer 기구
Γ. bite 및 공작물의 고정
Δ. 절삭조건
Ε. plner의 특수가공
Α. drilling machine의 종류
Β. drill 가공
Γ. reamer 가공
Δ. tap 가공
Α. 치차절삭법의 종류
Α. 활톱기계
Β. 원주톱기계
Γ. 띠톱기계
Δ. 연삭절단
Ε. 마찰절단
Ζ. 수류절단
Α. broach
공작물의 회전과 공구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절삭하는 공작기계를 선반이라 하고, 선반에서의 가공을 선삭 또는 선삭가공이라 한다.
Α. 보통선반
기력선반이라고도 부르며 초기의 수족선반에서 증기기관의 발명에 의하여 engine을 사용한 lathe라 하여 engine lathe라는 명칭을 갖게 되어 오늘에 이르렀으며, 이 engine lathe가 다목적인 범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우리는 이 선반을 보통선반이라 부른다. 보통선반은 특수 목적에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나 기본적인 작업을 거의 다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ⅰ. 선반의 구조와 부속장치
α. 주축대
주축대에는 전동기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주축, 주축의 나사부에 가공물을 고정하는 chuck 또는 면판이 설치되어 있다. 가공물의 회전수가 되는 주축의 회전수는 변속 gear 장치에 의하여 조정한다. 변속장치로는 이 외에 단차, back gear, 유압장치 및 무단변속장치 등이 있다.
β. 왕복대
왕복대에는 apron, saddle, 복식공구대 및 공구대 등으로 되어 있으며, apron handwheel에 의하여 왕복대를 bed에 따라 이동시키고, cross-feed handle에 의하여 cross slide를 bed 안내면에 직각 방향으로 움직인다. 또 복식공구대 handle에 의하여 복식공구대를 운동시킨다. cross-feed handle과 복식공구대 handle에 각각 micrometer collar가 설치되어 있어 1/100㎜까지의 눈금을 읽을 수 있으며, 이 collar는 set screw를 늦추어 0의 위치를 임의로 맞출 수 있다. 자동이송마찰 clutch는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의 자동이송 할 때 사용되…(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