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목록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오늘 어제 오래된 항목 검색 목록 키워드 입력 날짜 선택 시작: 4월 2024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끝: 4월 2024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취소 완료 아래 기록 삭제
시대별 르 꼬르뷔제의 작품 분석 레폿
시대별 르 꼬르뷔제의 작품 분석.hwp 문서자료 (File).zip
[목차]
1. 빌라 사보아, 포아시, 파리근교, 프랑스, 1928-1931년경
2, 위니테 다비타시옹, 마르세이유, 프랑스, 1946-1952년경
3. 노트르담-뒤-오 성당, 롱샹, 프랑스, 1950-1955년경
4. 라 뚜레트, 이뵈, 이용근처, 프랑스, 1957-1960년경
5. 샹디가르, 펀잡주 신수도, 인도, 1950-1960년경
1. 빌라 사보아, 포아시, 파리근교, 프랑스, 1928-1931년경
시골에 자리잡은 이 별장에서 르 꼬르뷔제는 자신이 내세운 현대 건축의 다섯가지 원칙을 적용 시키고 있다. 이 작품은 다른 것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힘과 시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아마도 복합성, 모호성, 모순성들이 내재해 있기 ㄸ문일 것이다.
밴츄리는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이라는 그의 저서에서 이건물의 거의 정방형에 가까운 평면을 모호성의 예로, 단순한 외관과 복잡한 내부를 대립성의 예로 들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이미 1층에서 차고로 들어가는 차의 회전반경에 의해서 결정된 구주체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건물의 네 면중 두면의 기둥들은 벽체선과 일치하고 있는 반면, 다른 두면의 기둥들은 벽체선보다 안쪽으로 후퇴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 해서 겉으로 보기에는 전채 건물의 구조체계가 규칙적이리라고 기대되지만 실제로는 내부의 일부 기둥들은 외주부의 기둥과 열이 맞지 않는다. 1층에는 차고, 서비스 공간 등이 자리잡고 있으며, 중심축상에는 다소 표현성이 강한 입구가 있다. 입구부 공간은 곡선의 유리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내부에는 위층의 주 생활공간으로 연결되는 욱중한 경사 램프가 인상 깊게 자리 잡고 있다.
유텔(Yudell)은 르 꼬르뷔제가 여러 다른 종류의 동선의 패턴을 훌륭하고 우아하게 엮어내는 것에 주목한다. 이 여러 종류의 동선패턴은 주로 경사 램프와 원형계단 사이의 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다. 반원형의 계단에서 나타나는 동선은 시계방향의 곡선 형태이며, 경사램프의 동선은 반시계방향의 직선이다. 이 두가 지의 동선은 서로 직가 방향으로 교차하면서 관계를 맺고 있다.
`나아가 계단 높이의 중간에서 접선방향으로 경사램프와 접촉하도록 만들어 놓았다... 우리가 한쪽 통로에 있을 때 다른 쪽 통로에서 움직이는 사람을 느낄 수 있다면 매우 재미있는 기분이 들 것이다.` (Yudell, 1979)
긴장감 있게 뻗어있는 주 볼륨을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리려는 것이 르 꼬르뷔제의 의도였다. 이러한…(생략)
시대별 르 꼬르뷔제의 작품 분석.hwp 시대별 르 꼬르뷔제의 작품 분석.hwp 시대별 르 꼬르뷔제의 작품 분석.hwp 시대별 르 꼬르뷔제의 작품 분석.hwp
검색 목록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오늘 어제 오래된 항목 검색 목록 키워드 입력 날짜 선택 아래 기록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