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의 문제 레폿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한국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

1. 문학사의 개념과 기술의 방법론
2. 한국 현대 문학사의 시대구분의 문제

        (1) 왕조교체론

        (2) 근대기점설

    1) 갑오경장설

    2) 영·정조설

    3) 1860년대설

    4) 최원식의 애국계몽기설

    5) 근대로의 이행기

    6) 1866년설

3. 문학사 기술의 역사

        (1) 임화 -「신문학사」

        (2) 백철 - 「신문학사조사」

        (3) 조연현 - 「한국현대문학사」

        (4) 김현·김윤식 - 「한국문학사」

        (5) 조동일 - 「한국문화통사」

Ⅲ. 마무리하며



고등학교 문학은 대부분 작품에 대한 평가를 외우고 수록된 어휘를 배우는 과정이었다. 그 때는 작가의 감상과 작가의 허구에 지나친 관심을 보이는 것이 참 우스워보였다. 때문에 그것의 역사를 연구하는 일에 가치를 두기란 불가능해 보였다. 하지만 대학교 와서 ‘그 허구를 통해서 진실을 추구할 수 있다면 모든 허구를 매도할 수는 없다’는 것을 배웠다. 그리고 지금 나는 문학사를 진실을 추구할 수 있는 문학작품을 가려내고 그 문학작품 속에서 사람들의 진실을 찾아가려는 노력으로 보고 있다.
아직도 사람들은 현대와 근대를 주제로 열띤 논쟁을 벌인다. 답도 찾지 못한 상태에서 현대문학사를 논하는 일은 어쩌면 모래 위에 집을 짓는 일일지 모른다. 그러나 진실이 너무 멀리 있을 때 그것을 얻기 위해 또다른 방법으로 시도한다는 것은 인간이기에 가능한 지혜이지 않을까 싶다. 텐이라는 문학사가는 역사보다 문학사가 미처 보여주지 못하는 사람들의 사상과 지혜라는 진실을 알려주는 더 좋은 방법이며 문헌이라고 얘기한 바 있다.
Ⅱ. 한국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

1. 문학사의 개념과 기술의 방법론

문학사란 문학에 나타난 민족의 정신과 상상력, 풍속과 사회상 등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 연구하는 학문이다. 즉 문학사는 문학 작품을 통시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으로 역사주의적 관점에서의 문학비평과 같다. 근대적인 문학사의 서술은 19세기부터 시작되었는데 프랑스의 문학사가 H.A. Taine이 실증주의 철학의 방법론에 입각하여 엮어낸 「영문학사」(1863)가 바로 그것이다.

 

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의 문제.hwp 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의 문제.hwp 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의 문제.hwp 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의 문제.hwp 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의 문제.hwp 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의 문제.hwp 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의 문제.hwp 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의 문제.hwp 문학사의 기술과 시대구분의 문제.h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