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올립니다 심리학 올립니다 긍정심리학에 관해서 레포트
` 목 차 `
Ⅰ. 긍정심리학이란 무엇인가
Ⅱ. 행복의 의미와 측정
Ⅲ. 긍정적 정서와 웰빙
Ⅳ. 돈, 행복, 문화
Ⅴ. 웰빙의 창문으로서의 개인적 목표
Ⅵ. 자기조절과 자기통제
Ⅶ. 긍정적 특질
Ⅷ. 밀접한 관계와 웰빙
Ⅸ. 영상의 삶
Ⅹ. 참고문헌
Ⅰ. 긍정심리학이란 무엇인가
긍정심리학의 가장 기본적인 생각은 심리학이 인간을 너무 부정적인 측면에서 보고 있다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심리학은 인간에 대해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을 더 많이 이야기 하였다. 이에 반해 긍정심리학은 인간의 악함과 약함과 함께 인간의 선함과 강함도 아울러 인간 본성에 대해서 좀 더 균형 있고 현실적인 시각을 가지려 한다.
‘긍정심리학’이라고 하는 새로운 조망에 대해 처음 언급한 현대의 심리학자는 Martin Seligman이다. 그는 인간 행동에서 나쁜 측면들을 연구하고 이것을 바꾸고자 하는 노력에서부터 인간 행동의 좋은 점을 더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심리학의 관심이 전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Martin Seligman이 긍정심리학을 역설한 것은 심리학 전체 영역을 재조명하기 위함이었다. 따라서 긍정심리학은 심리학이라는 학문에 대한 일반적인 조망이기도 하면서, 인간 행동의 긍정적 측면에 각각 초점을 맞춘 연구 주제들의 집합체이기도 한 것이다.
긍정심리학의 주요 가정은 심리학 영역에서 균형이 깨져 있다는 것이고, 긍정심리학의 주요 목표는 심리학 영역에서 균형을 되찾자는 것이다. 이 목표는 좀 더 발전해야 하는 두 가지 연구 주제와 이론에 반영되어 있다. 첫째, 연구와 이론의 주류를 이루었던 부정적 측면에 대한 초점을 긍정적 인간 행동에 대한 향상된 이해를 통해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심리학자들은 긍정심리학 주제의 과학적 지위에 대한 그들의 회의를 극복해야 한다. 둘째, 정신적 질병에 대한 분류나 이해와 마찬가지로, 건강한 사람의 삶에 대해서도 경험적 증거에 기반하여 이해해야 하고, 이것을 기술할 수 있는 용어나 개념을 정립해야 한다.
Martin Seligman은 긍정심리학을 정의하기 위해 행복이 긍정심리학의 가장 핵심적인 연구대상이고, 이것은 다시 세 개의 요소, 즉 즐거운 삶, 몰입된 삶, 의미 있는 삶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즐거운 삶이란 삶의 어떠한 조건과 개인의 어떠한 자질이 개인을 행복하고, 만족하며, 충만감…(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