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교육에서 협력적 접근의 개념과 필요성을 설명하고 협력적 접근을 통한 기대효과에 대해 서술하시오 레폿
통합교육에서 협력적 접근의 개념과 필요성을 설명하고 협력적 접근을 통한 기대효과에 대해 서술하시오
내용
통합교육에서 협동적 접근은 장애아동을 교실에서 함께 협동적으로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
함께 목표를 설정하고, 문제를 파악하며, 학생들의 요구와 실력을 진단하고, 정보를 교환하고, 의견을 나누고, 문제를 해결하고, 계획을 세우고, 장애아동 교육을 중심으로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장애아동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이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2인 이상이 함께 노력하여 보다 높은 교육적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무엇보다 현명한 의사결정을 함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에 따른 지속적인 계획 수립과 평가 및 시정 과정을 촉진하는 효과도 있다.
협력을 통해 각 교사의 직무 만족도가 높아지고 개인/전문가 성장에 도움이 된다.
오늘날의 통합교육은 다양한 요구와 변화 속에서 성장하고 전진하고 있다.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이 늘어나고 어려운 아이들이 많아지면서 교사 한 명이 자신의 어려움을 모두 해결하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이루기에는 한계가 많다.
특히 통합교육의 대상이 되는 특수아동은 다양하고 아동마다 요구되는 교육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협동적인 교수법을 이용하여 통합교육이나 별도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수학급에 속하지만 완전한 통합교육을 받는 아이들이 있는데, 과목에 따라 특수학급을 지원하는 자원봉사자들이 일부 특수학급 아이들을 돕는 일반교실로 옮겨야 할 수도 있다.
특수학급 선생님과 함께 특수학급에서 수업을 듣는 아이들, 일반교실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아이들은 자원봉사자들이 수업을 잘 따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때 일반교실과 특수교실에서 모두 완전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특수아동을 담당하는 부모 및 관련 서비스 제공자(치료사 등)와의 협력을 통해 아동교육이 일관되고 통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아동에게 적합한 교수법을 수정, 개발, 실행하는 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는 통합학급 내에서 특수아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학급과 학교를 만드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