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옥 경무무장,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 마을 인근에서 군인들이 기습받은 데…(생략)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1절 발포사건 발생 1948.1- 3.10 총선거 실시 10.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10- 5.3- 무장대의 경찰지서 습격(무장봉기) 4.3에 대한 기본 이해 1.1.25- 한국전쟁 발발 8.12- 의귀리 전투.12- 의귀리 전투. 마을 인근에서 군인들이 기습받은 데 대한 보복으로 조천면 북촌리를 모두 태우고 이 튿날까지 주민 400명 가량을 집단총살 6.3에 대한 기본 이해 1.7- 무장대 총사령관 이덕구 사살 1950.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28- 제9연대장 김익렬과 무장대 총책 길달삼 간의 평화협상 5.9.zip [목차] 제 1주차 강의 4.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3.1- 3. 1956년 5월경, 김익력 9연대장 등이 모여 ‘5.5 최고수뇌회의 개최 5.1- ‘오라리 방화사건 발생해 평화협상 파기 5. 군인들은 전투 직후 의귀국민학교에 ......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문서파일 (첨부파일).zip
[목차]
제 1주차 강의 4.3에 대한 기본 이해
1. 제주 4.3 사건 주요 일지
1947.3.1- 3.1절 발포사건 발생
1948.4.3- 무장대의 경찰지서 습격(무장봉기)
4.28- 제9연대장 김익렬과 무장대 총책 길달삼 간의 평화협상
5.1- ‘오라리 방화사건 발생해 평화협상 파기
5.5- 딘 미군정장관, 조병옥 경무무장, 김익력 9연대장 등이 모여 ‘5.5 최고수뇌회의 개최
5.10- 5.10 총선거 실시
10.17- 송요찬 9연대장 제주 해안에서 5km 이상 지역에 통행금지를 명령하면서 이를 어길시 이유 여하를 막론 하고 총살에 처하겠다는 내용의 포고문 발표
1949.1.12- 의귀리 전투. 무장대가 남원면 의귀리에 주둔해 있는 토벌대를 습격했으나 패퇴. 군인들은 전투 직후 의귀국민학교에 수용했던 중산간마을 주민 80여명을 집단총살. 1950년 3월경 집단 총살된 주민들 유해 를 수습하여 ‘현의합장묘 조성
1.17- ‘북촌 사건. 마을 인근에서 군인들이 기습받은 데 대한 보복으로 조천면 북촌리를 모두 태우고 이 튿날까지 주민 400명 가량을 집단총살
6.7- 무장대 총사령관 이덕구 사살
1950.6.25- 한국전쟁 발발
8.20- 모슬포경찰서 관내 예비검속자 252명이 송악산 섯알오름에서 집단총살됨. 1956년 5월경, 시신을 수습 하여 안장하고 ‘백 할아버지의 한 자손이라는 의미로‘백조일손지지묘라 부름
1954.9.21- 한라산 금족지역 해제
제 1주차 강의 4.3에 대한 기본 이해
1. 제주 4.3 사건 주요 일지
1947.3.1- 3.1절 발포사건 발생
1948.4.3- 무장대의 경찰지서 습격(무장봉기)
4.28- 제9연대장 김익렬과 무장대 총책 길달삼 간의 평화협상
5.1- ‘오라리 방화사건’ 발생해 평화협상 파기
5.5- 딘 미군정장관, 조병옥 경무무장, 김익력 9연대장 등이 모여 ‘5.5 최고수뇌회의’ 개최
5.10- 5.10 총선거 실시
10.17- 송요찬 9연대장 제주 해안에서 5km 이상 지역에 통행금지를 명령하면서 이를 어길시 이유 여하를 막론 하고 총살에 처하겠다는 내용의 포고문 발표
1949.1.12- 의귀리 전투. 무장대가 남원면 의귀리에 주둔해 있는 토벌대를 습격했으나 패퇴. 군인들은 전투 직후 의귀국민학교에 수용했던 중산간마을 주민 80여명을 집단총살. 1950년 3월경 집단 총살된 주민들 유해 를 수습하여 ‘현의합장묘’ 조성
1.17- ‘북촌 사건’. 마을 인근에서 군인들이 기습받은 데…(생략)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4·3의이해강의자료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MH MH 자료 보고서 MH 제주대학교 보고서 제주대학교 보고서 4·3의이해강의자료 자료
1956년 5월경, 시신을 수습 하여 안장하고 ‘백 할아버지의 한 자손이라는 의미로‘백조일손지지묘라 부름 1954. 1950년 3월경 집단 총살된 주민들 유해 를 수습하여 ‘현의합장묘 조성 1.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 1950년 3월경 집단 총살된 주민들 유해 를 수습하여 ‘현의합장묘’ 조성무장대가 남원면 의귀리에 주둔해 있는 토벌대를 습격했으나 패퇴.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10 총선거 실시 10.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28- 제9연대장 김익렬과 무장대 총책 길달삼 간의 평화협상 5.4.4.3에 대한 기본 이해 1.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 1950년 3월경 집단 총살된 주민들 유해 를 수습하여 ‘현의합장묘’ 조성.1- ‘오라리 방화사건’ 발생해 평화협상 파기 5.5 최고수뇌회의 개최 5.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3.3- 무장대의 경찰지서 습격(무장봉기) 4..3 사건 주요 일지 1947.12- 의귀리 전투.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1- ‘오라리 방화사건 발생해 평화협상 파기 5.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7- 무장대 총사령관 이덕구 사살 1950.3 사건 주요 일지 1947.20- 모슬포경찰서 관내 예비검속자 252명이 송악산 섯알오름에서 집단총살됨.3- 무장대의 경찰지서 습격(무장봉기) 4.21- 한라산 금족지역 해제 제 1주차 강의 4. 군인들은 전투 직후 의귀국민학교에 수용했던 중산간마을 주민 80여명을 집단총살.1절 발포사건 발생 1948.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1- 3.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1절 발포사건 발생 1948.5- 딘 미군정장관, 조병옥 경무무장, 김익력 9연대장 등이 모여 ‘5.5- 딘 미군정장관, 조병옥 경무무장, 김익력 9연대장 등이 모여 ‘5.6.10- 5.1- ‘오라리 방화사건 발생해 평화협상 파기 5..6.10- 5.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10 총선거 실시 10.28- 제9연대장 김익렬과 무장대 총책 길달삼 간의 평화협상 5.hwp.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21- 한라산 금족지역 해제 제 1주차 강의 4. 무장대가 남원면 의귀리에 주둔해 있는 토벌대를 습격했으나 패퇴.5- 딘 미군정장관, 조병옥 경무무장, 김익력 9연대장 등이 모여 ‘5. 제주 4. 무장대가 남원면 의귀리에 주둔해 있는 토벌대를 습격했으나 패퇴.3- 무장대의 경찰지서 습격(무장봉기) 4..1- 3.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5 최고수뇌회의’ 개최 5.hwp. 군인들은 전투 직후 의귀국민학교에 수용했던 중산간마을 주민 80여명을 집단총살. 제주 4.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25- 한국전쟁 발발 8.7- 무장대 총사령관 이덕구 사살 1950.3.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 마을 인근에서 군인들이 기습받은 데…(생략)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1- 3.3 사건 주요 일지 1947.10 총선거 실시 10.zip [목차] 제 1주차 강의 4.28- 제9연대장 김익렬과 무장대 총책 길달삼 간의 평화협상 5.1- ‘오라리 방화사건’ 발생해 평화협상 파기 5.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문서파일 (첨부파일).9.1.12- 의귀리 전투.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25- 한국전쟁 발발 8.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hwp 문서파일 (첨부파일).3 사건 주요 일지 1947.3. 1950년 3월경 집단 총살된 주민들 유해 를 수습하여 ‘현의합장묘 조성 1.4.10- 5.3에 대한 기본 이해 1. 1956년 5월경, 시신을 수습 하여 안장하고 ‘백 할아버지의 한 자손이라는 의미로‘백조일손지지묘라 부름 1954. 마을 인근에서 군인들이 기습받은 데 대한 보복으로 조천면 북촌리를 모두 태우고 이 튿날까지 주민 400명 가량을 집단총살 6.3- 무장대의 경찰지서 습격(무장봉기) 4. 마을 인근에서 군인들이 기습받은 데…(생략)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17- 송요찬 9연대장 제주 해안에서 5km 이상 지역에 통행금지를 명령하면서 이를 어길시 이유 여하를 막론 하고 총살에 처하겠다는 내용의 포고문 발표 1949.1.28- 제9연대장 김익렬과 무장대 총책 길달삼 간의 평화협상 5.17- ‘북촌 사건.5 최고수뇌회의’ 개최 5.10 총선거 실시 10.17- 송요찬 9연대장 제주 해안에서 5km 이상 지역에 통행금지를 명령하면서 이를 어길시 이유 여하를 막론 하고 총살에 처하겠다는 내용의 포고문 발표 1949. 제주 4.3.17- ‘북촌 사건’.17- 송요찬 9연대장 제주 해안에서 5km 이상 지역에 통행금지를 명령하면서 이를 어길시 이유 여하를 막론 하고 총살에 처하겠다는 내용의 포고문 발표 1949.1- 3.17- ‘북촌 사건.4.1절 발포사건 발생 1948.5 최고수뇌회의 개최 5.12- 의귀리 전투.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3에 대한 기본 이해 1.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17- 송요찬 9연대장 제주 해안에서 5km 이상 지역에 통행금지를 명령하면서 이를 어길시 이유 여하를 막론 하고 총살에 처하겠다는 내용의 포고문 발표 1949.12- 의귀리 전투. 제주 4. 마을 인근에서 군인들이 기습받은 데 대한 보복으로 조천면 북촌리를 모두 태우고 이 튿날까지 주민 400명 가량을 집단총살 6.1절 발포사건 발생 1948.10- 5. 제주대학교 자료 4·3의이해강의자료 보고서 QO .5- 딘 미군정장관, 조병옥 경무무장, 김익력 9연대장 등이 모여 ‘5. 무장대가 남원면 의귀리에 주둔해 있는 토벌대를 습격했으나 패퇴.1.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료.17- ‘북촌 사건’. 군인들은 전투 직후 의귀국민학교에 수용했던 중산간마을 주민 80여명을 집단총살.1.20- 모슬포경찰서 관내 예비검속자 252명이 송악산 섯알오름에서 집단총살됨.3에 대한 기본 이해 1.zip [목차] 제 1주차 강의 4.9. 군인들은 전투 직후 의귀국민학교에 수용했던 중산간마을 주민 80여명을 집단총살.hwp [제주대학교]4 3의이해강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