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개론-자신의 현재 성격적 특징, 내면적 표상 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관하여 자유롭게 기술 DownLoad
1. 제목: 1) 자기분석`부제: 나는 누구인가
2) 심리학 관련 도서 독후감 중 택 1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내가 어떤 사람일까라는 물음에 진지하게 생각은 가끔 해보았지만 딱히 그 것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를 해본적은 없다. 내 행동이나 감정의 패턴을 곰곰이 생각해보면 어떠한 하나의 패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 같다. 예를 들어 주어진 상황이 비슷하다면 비슷한 감정을 느끼고 비슷한 행동을 취하는 것이다. 남에게 충고를 들었을 때 표정관리가 잘 안되거나 그 순간의 상대방에 대한 좋지 않은 감정이 생기고 분위기를 타서 점점 그 상황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바로 그런 경우이다. 내가 알고 있는 나의 성격이 객관적인 지표(심리검사)에 의한 나의 성격과 비슷할지 궁금하다. 이 기회를 통해 나 자신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다. 본론에서는 MBTI검사를 통해 나의 성격을 분석하고 꿈을 통한 나의 심리상태를 해석해보고자 한다.
(1) MBTI검사를 통한 자기분석
MBTI검사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심리검사로 자신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인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검사이다. 이 검사는 자신이 선택한 4가지 선호지표에 따라 16가지의 서로 다른 성격유형을 결과로 제시받게 되는데, 각각의 선호지표는 나의 선택에 따라 점수가 주어진다. 위의 객관적인 수치상의 기록에 따르면 나는 ESTJ의 유형이라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다. 하지만 E(외향)의 지표가 5점이라는 낮은 점수로 볼 때 완전한 외향형이 아니라 내향형의 성격도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ESTJ유형과 ISTJ유형과의 비교를 실시하였고 내가 ESTJ유형보다 ISTJ유형과 좀 더 가깝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E(외향)-I(내향)는 에너지의 방향을 물어보는 것으로 에너지를 외적으로 발산하는 성격의 사람을 외향형의 사람, 내적으로 발산하는 사람을 내향형의 사람이라고 분류할 수 있다. 나는 수치상으로 E(외향)의 점수가 5점이 나왔다. 내향적인 성향이 더 강함에도 불구하고 외향의 점수가 좀 더 나온 이유는 아무래도 그동안 살아오면서 내가 바라던 모습의 상으로 변화를 많이 시도했고, 나이가 들고 차츰 성숙해지는 과정을 거치면서 어느 정도 변화된 나의 외향적인 성향으로 인해 이러한 결과를 나오게 한 것 같다. 내향형의 사람은 많은 사람을 두루 사귀는 것보다 자신과 성격이 잘 맞…(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