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가 현재의 중국 영토 안에 존재했었던 나라라는 이유만으로 중국사의 일부로 다루고 있다.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우리의 고대사도 이러한 논리의 희생물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연구가 아직은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다. 이러한 중국인들의 주장은 모든 것을 우리의 역사에 끌어들이려는 북한측의 주장과 상반된다. 물론 이러한 시각에 대한 반론도 있지만, 학문적으로는 서로 비난하는 입장에 있다. 역사가 현재적 유용성에 종속되어 있는 대표적인 경우이다.hwp 자료.hwp.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발해를 찾아서,ip ⑴ 중국 ① 중국의 시각: 중국에서는 그들 역사의 범주를 현재의 중국 영토 안에 있었던 과거의 역사 모두로 잡고 있다.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현지에서 직접 확인한 사실은,pp283-4) ② 중국연구의 모순: 중국 학자들이 발해 유적과 유물을 독점하는 유리한 위치에 있지만, 이것을 십분 활용하여 발해사의 ......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hwp 자료.zip
⑴ 중국
① 중국의 시각: 중국에서는 그들 역사의 범주를 현재의 중국 영토 안에 있었던 과거의 역사 모두로 잡고 있다. 이것은 그들의 소수민족 동화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소수민족 지역에 대한 역사적 연고권을 주장하여 그들의 분리 독립의식을 약화시키려는 의도에서 나타난 것이기 때문이다. 역사가 현재적 유용성에 종속되어 있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물론 이러한 시각에 대한 반론도 있지만, 그것은 소수이다.
그러나 이것이 남의 일이 아니라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우리의 고대사도 이러한 논리의 희생물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부여, 고구려, 발해가 현재의 중국 영토 안에 존재했었던 나라라는 이유만으로 중국사의 일부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위치가 불명확한 고조선은 청천강 이남으로 밀어붙여 한국사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상태이니 한국측의 반응에 대해 민감하다. 현지에서 직접 확인한 사실은, 발해사를 우리 역사라고 하는 것을 마치 만주의 영유권을 빼앗으려는 심산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중국인들의 주장은 모든 것을 우리의 역사에 끌어들이려는 북한측의 주장과 상반된다. 그러므로 비록 정치적으로는 양국이 우호적이라 하더라도, 학문적으로는 서로 비난하는 입장에 있다. (발해를 찾아서,pp283-4)
② 중국연구의 모순: 중국 학자들이 발해 유적과 유물을 독점하는 유리한 위치에 있지만, 이것을 십분 활용하여 발해사의 실체에 접근하는 데에까지는 아직 미흡하다. 그것은 앞서 지적한 공식의 틀을 벗어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으로써 그들의 시각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의 연구가 아직은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다.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hwp
LU LU Report 국사(상) 국사(상) Report 10- 발해사(渤海史) 발해사(渤海史) 국사(상) 발해사(渤海史) Report 10- 10- LU
그리고 그들의 연구가 아직은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다.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 . 이러한 중국인들의 주장은 모든 것을 우리의 역사에 끌어들이려는 북한측의 주장과 상반된다. 그리고 위치가 불명확한 고조선은 청천강 이남으로 밀어붙여 한국사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이것은 그들의 소수민족 동화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현지에서 직접 확인한 사실은, 발해사를 우리 역사라고 하는 것을 마치 만주의 영유권을 빼앗으려는 심산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다.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 .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 . 그리고 위치가 불명확한 고조선은 청천강 이남으로 밀어붙여 한국사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것은 앞서 지적한 공식의 틀을 벗어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으로써 그들의 시각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고대사도 이러한 논리의 희생물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은 부여, 고구려, 발해가 현재의 중국 영토 안에 존재했었던 나라라는 이유만으로 중국사의 일부로 다루고 있다.hwp..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 . 물론 이러한 시각에 대한 반론도 있지만, 그것은 소수이다. 그러므로 비록 정치적으로는 양국이 우호적이라 하더라도, 학문적으로는 서로 비난하는 입장에 있다.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 .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 . 그들은 부여, 고구려, 발해가 현재의 중국 영토 안에 존재했었던 나라라는 이유만으로 중국사의 일부로 다루고 있다.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wp 자료. 그러므로 비록 정치적으로는 양국이 우호적이라 하더라도, 학문적으로는 서로 비난하는 입장에 있다.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 . 이런 상태이니 한국측의 반응에 대해 민감하다.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 . 우리의 고대사도 이러한 논리의 희생물이 되고 있는 것이다. (발해를 찾아서,pp283-4) ② 중국연구의 모순: 중국 학자들이 발해 유적과 유물을 독점하는 유리한 위치에 있지만, 이것을 십분 활용하여 발해사의 실체에 접근하는 데에까지는 아직 미흡하다.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 . 물론 이러한 시각에 대한 반론도 있지만, 그것은 소수이다. 이러한 중국인들의 주장은 모든 것을 우리의 역사에 끌어들이려는 북한측의 주장과 상반된다. 역사가 현재적 유용성에 종속되어 있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리고 그들의 연구가 아직은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다. 그러나 이것이 남의 일이 아니라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zip ⑴ 중국 ① 중국의 시각: 중국에서는 그들 역사의 범주를 현재의 중국 영토 안에 있었던 과거의 역사 모두로 잡고 있다. 그것은 앞서 지적한 공식의 틀을 벗어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음으로써 그들의 시각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소수민족 지역에 대한 역사적 연고권을 주장하여 그들의 분리 독립의식을 약화시키려는 의도에서 나타난 것이기 때문이다.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그러나 이것이 남의 일이 아니라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이것은 그들의 소수민족 동화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hwp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발해를 찾아서,pp283-4) ② 중국연구의 모순: 중국 학자들이 발해 유적과 유물을 독점하는 유리한 위치에 있지만, 이것을 십분 활용하여 발해사의 실체에 접근하는 데에까지는 아직 미흡하다. 현지에서 직접 확인한 사실은, 발해사를 우리 역사라고 하는 것을 마치 만주의 영유권을 빼앗으려는 심산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점이다.zip ⑴ 중국 ① 중국의 시각: 중국에서는 그들 역사의 범주를 현재의 중국 영토 안에 있었던 과거의 역사 모두로 잡고 있다..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 . 이런 상태이니 한국측의 반응에 대해 민감하다. 역사가 현재적 유용성에 종속되어 있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소수민족 지역에 대한 역사적 연고권을 주장하여 그들의 분리 독립의식을 약화시키려는 의도에서 나타난 것이기 때문이다. wp 자료. 국사(상) 10- 발해사(渤海史) Report 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