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평리조트 관광마케팅 DownLoad
[목차]
목 차
1.위치
Ⅱ.용평리조트 레포츠시설
1.스키
2.골프장
3.다양한 레포츠 시설
4.용평 케이블카
Ⅲ용평 리조트시설
1.숙박시설
2.식음료 관련시설
3.부대시설
Ⅲ.용평리조트 현황
1.리조트 성격의 변천사
2.기업참여형식
3.STP과정
4.SWOT분석
Ⅳ.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마케팅전략
1.사회·환경적 문제점
2.경영상의 문제점
3.개선방안
4.마케팅전략
(1) 시장세분화
스키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데다 주5일 근무제의 확산이 스키 인구를 늘어나게 하고 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의 `올시즌(2003년 12월~2004년 3월) 스키장 이용객 분석`에 따르면 국내 12개 스키장의 이용객 수는 약 413만 명으로 지난 시즌의 380만 명에 비해 8.7% 증가한 것으로 예측됐다. 1998년 IMF의 여파로 스키인구가 급감한 것을 제외하면 이 추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와 함께 신규 스키장 또한 대거 추가로 증설되어 스키인구 증가에 대해 낙관할 수만은 없었다. 기존 숙박형 스키장이 건재한데다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당일형 스키장이 대거 건설되어 용평을 위협하게 되었다. 따라서 용평은 기존 숙박형 스키장(무주 리조트, 홍천 비발디파크)과 당일형 스키장(천마산 · 베어스타운 · 양지파인리조트 등)에 대해 비교우위를 점해야 한다는 과제가 주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용평은 숙박형(체제형) 스키장인 만큼 당일형 스키장에 비교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종합리조트임을 강조해야 한다. 그런데 앞서 말한 기존 숙박형 스키장과 경쟁을 해야 하는데다(현재 입장객 1위는 무주) 국내 사정은 복합적 성격의 리조트라 할지라도 스키리조트의 특성을 최대한 부각시켜 경영하여야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