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교실에서의 수학의 평가와 성적 산정 DownLoad
또한 시험 문제를 기기의 사용 정도에 따라 적극적 활용, 중간적, 비활용적으로 구분했는데 적극적 활용은 삼각함수나 로그 함수를 계산할 때 계산기를 사용하는 경우 등 수를 다루는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고 중간적인 경우는 그래프 계산기나 함수-그래프 소프트웨어, 기하학적인 그래프를 그리기 위한 소프트웨어 등 그래프를 그리거나 그림을 그릴 때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표에서 각 항목에 대해 분류한 것과 문제가 출제된 과정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그러나 수준에 의한 분류에서만 예외가 발생했다. 즉 위의 표에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두 단계면 되는 문제는 수준이 낮은 것으로, 세단계 이상이 필요하고 내용이 그 과정에서 새로운 것이면 이외의 것으로 구분했다. 그러나 이번 과정을 배우기 위한 사전 지식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라면 세 단계 이상의 과정을 거쳐서 해결해야 해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류했다. ax+b=cx+d라는 문제는 대수 1에서는 그 이외의 것으로, 대수 1을 배우고 난 후에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류했다.
다른 평가 도구들. 그 이외의 평가도구들은 리포트나 컴퓨터 실습 등의 형태를 가지고 분류했다. 어떠한 도구를 사용하고 그것들을 사용할 때 NCTM Standards의 권고를 얼마나 따랐는지도 조사했다.
인터뷰. 학년이 끝날 때 각 교사들은 연주자중 한 명과 인터뷰를 가졌다. 인터뷰를 30분에서 1시간 가량 걸렸으며 테이프로 녹음되었다. 각 연구자는 원고를 가지고 있었으나 변형이 타당하다면 질문을 바꾸는 것이 허용되었다. 인터뷰를 통해서 교사들의 평가와 성적 산정 방법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