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올립니다 일반화학실험 - 산염기 적정곡선의 분석 다운받기
[목차]
_SLIDE_1_
Analysis of Gran plot acid and base
_SLIDE_2_
3)이온세기 4)산-염기적정
5)gran plot
목차
_SLIDE_3_
NaOH 표준 용액으로 순수한 프탈산수소칼륨(KHP)을 적정하여 값으로 Gran Plot을 만들어 보고, Gran Plot 을 이용하여 당량점과 Ka를 구해본다.
1.실험 목적
_SLIDE_4_
다른 종 이온들로 이루어진 전해질의 존재 하에
난용성 염의 포화용액 중 그 성분이온들이 나타내는 “유효 농도”
2. 이론
_SLIDE_5_
이온 i의 활동도 ai
ai 〓 Ci fi
Ci : i의 농도
Fi : i의 활동도 계수
활동도 계수는 용액 속에 녹...
Analysis of Gran plot acid and base
1. 실험 목적
2. 이론
1)활동도 2)활동도 계수
3)이온세기 4)산-염기적정
5)gran plot
3. 기구 및 시약 조사
4.실험방법
5.결과처리
6.참고문헌
목차
NaOH 표준 용액으로 순수한 프탈산수소칼륨(KHP)을 적정하여 값으로 Gran Plot을 만들어 보고, Gran Plot 을 이용하여 당량점과 Ka를 구해본다.
1.실험 목적
다른 종 이온들로 이루어진 전해질의 존재 하에
난용성 염의 포화용액 중 그 성분이온들이 나타내는 “유효 농도”
1)활동도
2. 이론
이온 i의 활동도 ai
ai 〓 Ci fi
Ci : i의 농도
Fi : i의 활동도 계수
활동도 계수는 용액 속에 녹아 있는 전체 이온들의 수와 전하의 크기에 의해 달라지는데, 활동도 계수는 이온간의 인력에 의한 영향을 보정해 주는 것.
2)활동도계수(activity coefficient)
3) 이온세기(ionic strength)
전체 이온들의 농도를 나타내는 척도
μ 〓 ½ ∑ ci Z²i
μ : 이온세기, Zi : 각 이온의 전하
용액의 이온세기는 그 염의 농도에 비례
넣어 준 산 수용액이나 염기 수용액의 부피에 따른 혼합 수용액의 pH 변화를 나타낸 곡선을 말하며, 중화점 근처에서는 급격한 pH변화를 나타내는데, 산과 염기의 세기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르다.
4)산-염기 적정
Strong acid strong base titration
(강산-강염기 적정)
Ex)
[H+} + {Na+} 〓 [OH-] + [C…(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